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복지 혜택 놓치지 않으려면 꼭 알아두세요!


기준 중위소득은 전국 가구를 소득 순서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금액입니다.
정부는 이 금액을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 국가장학금, 에너지바우처, 청년 지원사업 등 약 80여 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정합니다.


최저임금만큼이나 매년 주목받는 지표이니 참고하세요.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변동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변동

2026년은 역대 최대 폭 인상입니다. 특히 1인 가구 인상률이 두드러집니다.

가구원 수2025년2026년인상률
1인2,392,013원2,564,238원7.20%
2인3,932,658원4,199,292원6.78%
3인5,025,353원5,359,036원6.64%
4인6,097,773원6,494,738원6.51%
5인7,108,192원7,556,719원6.32%
6인8,064,805원8,555,952원6.09%

💡 급여별 선정 기준 (2026년 적용)

복지종류기준중위소득 비율1인가구 기준4인가구 기준
생계급여32% 이하820,556원2,078,316원
의료급여40% 이하1,025,695원2,597,895원
주거급여48% 이하1,230,834원3,117,474원
교육급여50% 이하1,282,119원3,247,369원

예시) 4인 가구 월소득 100만 원 → 생계급여: 2,078,316원 - 1,000,000원 = 1,078,316원 지급

🚀 2026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 청년층 근로·사업소득 공제 확대 (만 29세 → 34세)
  2. 주거급여 인상 (지역별 1.7~3.9만 원)
  3. 교육급여 확대 (초·중·고별 지원금 상향)
  4.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다자녀 3명 → 2명)

🌟 꼭 알아둬야 하는 이유

  • 국가장학금, 행복주택, 에너지 바우처, 청년 도약 계좌, 가족 돌봄 휴가비, 기초연금 일부
    모두 ‘기준 중위소득’을 기반으로 합니다.

📌 실생활 팁

  •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내 소득·재산을 입력하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자동 확인 가능
  • 소득 변동 시 즉시 신고하는 게 유리합니다.

이렇게 하면 2026년 복지 혜택을 놓치지 않고 챙길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 기준에 맞지 않던 분들도 내년에는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으니 꼭 확인하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신고하기

이미지alt태그 입력

오른쪽 디스플레이 광고

왼쪽 디스플레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