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상위 10% 소득 기준 (+건강보험료)

 


최근 이재명 정부에서 전국민 25만원 지원금을 뿌린다고 해서 다들 소득 상위 10%가 어디까지 일지 궁금해 하시는 것 같습니다.

🙂 대한민국에서 소득 상위 10%에 들기 위한 기준과 이들이 내는 건강보험료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해드릴게요.


📈 상위 10% 소득 기준

  • 2025년 1분기 기준, 직장인의 평균 월급이 약 1,482만 원이었고, 이를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1억 7,784만 원입니다. 즉, 이 수준 이상의 연봉을 받는다면 소득 상위 10%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에요 

  • 실제 정부 지원 정책에서도 이 연봉을 기준으로 ‘상위 10% 판단에 활용되는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되는 만큼, 이 수치는 꽤 현실적인 기준입니다 .


🏥 상위 10% 건강보험료 부담액 기준

  • 직장가입자의 경우, 본인 부담 기준으로 월 약 27만~27만 5천 원 이상을 납부할 경우 상위 10%로 분류됩니다 

    • 브런치 분석에 따르면 “본인 부담금 기준 월 27만 5천 원 이상”이 상위 10%에 해당 가능성이 높다고 명시돼 있어요

    • 매일경제 보도에서도 “직장가입자 상위 10%의 월 납부액은 27만 3,380원 이상”이라고 하죠 

  • 지역가입자는 본인+사업주 부담 모두 포함하여 월 약 51만 원 이상일 경우 상위 10%로 추정됩니다

이 차이는 직장가입자는 급여에 비례해 보험료가 나오지만(회사와 개인이 절반씩 부담), 지역가입자는 소득뿐 아니라 부동산, 자동차 등 재산 요소가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왜 소득이 아닌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삼을까?

정부는 개인의 소득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투명하고 실시간 데이터인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활용해 소득 수준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특히 재산 요소까지 포함해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어요.



  • 실제로 '월 27만 원대 이상 낸다면 상위 10%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 다만 지역가입자의 경우 소득만으로 결정되지 않고, 재산 요소까지 다 반영되기 때문에 기준이 좀 더 높게 책정되어 있어요.


📌 마무리하면서

이 수치들은 2025년 상반기 기준이며, 정부 지원금 정책이나 세법에 따라 기준이 조금씩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아시고 계시면 좋아요.


특히 지역가입자는 자산 규모까지 고려되므로, 자신이 이 기준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알고 싶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The건강보험’ 앱에서 내 보험료 내역을 꼭 확인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해가 잘 되셨나요? 더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다른 글 더보기>

윌리엄글래서의 '선택이론'과 WDEP 상담기법


블로그 스팟 도메인 연결 시 오류메세지가 안뜨는 경우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신고하기

이미지alt태그 입력

오른쪽 디스플레이 광고

왼쪽 디스플레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