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수십만 원대 강의 대신 단돈 1만 원대로 양질의 AI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가성비 강의 플랫폼도 함께 안내드릴게요.
🌱 GPT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첫 걸음: 맥락을 더하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GPT에게 뭐라고 물어봐야 할지 모르겠어요”라는 고민을 안고 있습니다. 이럴 땐 단순히 질문하는 대신, 자신의 상황과 역할, 문제를 함께 설명해보세요.
예:
"저는 신입 프로덕트 디자이너인데, 인터뷰 데이터를 분석해야 합니다. ChatGPT로 어떤 방식으로 분석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맥락을 추가하면, GPT는 요약, 감정 분석, 키워드 추출, 질문지 생성 등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 줍니다. 마치 팀원에게 일을 맡기듯 구체적인 배경을 함께 전달하는 것, 이것이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시작입니다.
🧠 GPT가 질문하게 하세요: 프롬프트 역전 전략
우리는 내가 어떤 단어를 써야 할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AI 전문가 토니 시모노프스키는 GPT에게 먼저 질문하도록 하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예:
"내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묻고 난 뒤, 최종 답을 제시해 줘."
이런 방식은 프롬프트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 특히 유용하며, 자연스럽게 AI가 필요한 맥락을 수집한 후 정확도 높은 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돕습니다.
🧩 프롬프트 구조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 C.O.S.T.A
GPT4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대회에서 우승한 데이터 과학자 셀라티는 프롬프트 작성 시 아래 여섯 가지 요소를 추천했습니다.
-
Context (맥락)
-
Objective (목표)
-
Style (문체)
-
Tone (응답의 어조)
-
Audience (대상)
-
Format (응답 형식)
이 요소를 조합해 질문을 구성하면 GPT가 보다 정밀하고 직관적인 응답을 하게 됩니다.
아래는 프롬프트를 구조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C.O.S.T.A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구성한 예시 문장입니다.
✅ 예시 프롬프트 1 – 블로그 글 작성 요청
✍️ "나는 IT 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는 콘텐츠 마케터입니다. ChatGPT에 대한 초보자 가이드를 쓰려고 합니다. (Context)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어체 스타일의 (Style) 따뜻하고 친절한 말투로 (Tone), 블로그 독자들에게 (Audience) ‘ChatGP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용적인 글을 작성해 주세요. (Objective)"
✍️ "나는 IT 관련 블로그를 운영하는 콘텐츠 마케터입니다. ChatGPT에 대한 초보자 가이드를 쓰려고 합니다. (Context)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어체 스타일의 (Style) 따뜻하고 친절한 말투로 (Tone), 블로그 독자들에게 (Audience) ‘ChatGP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용적인 글을 작성해 주세요. (Objective)"
✅ 예시 프롬프트 2 – 마케팅 카피 작성 요청
💡 "저는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는 브랜드 마케터입니다. (Context) 20~30대 직장인 소비자에게 (Audience) ‘지속가능한 소비의 가치를 담은’ 광고 카피를 만들고 싶습니다. (Objective) 세련되고 간결한 문체로 (Style), 공감 가는 진정성 있는 어조로 작성해 주세요. (Tone)"
💡 "저는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는 브랜드 마케터입니다. (Context) 20~30대 직장인 소비자에게 (Audience) ‘지속가능한 소비의 가치를 담은’ 광고 카피를 만들고 싶습니다. (Objective) 세련되고 간결한 문체로 (Style), 공감 가는 진정성 있는 어조로 작성해 주세요. (Tone)"
✅ 예시 프롬프트 3 – 보고서 요약 요청
📄 "기업 보고서에서 핵심 내용을 요약하려고 합니다. (Objective) 현재 보고서는 재무 현황과 미래 전략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Context) 이를 회사 임원들이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Audience)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톤과 (Tone) 논리적인 문체로 요약해 주세요. (Style)"
✅ 예시 프롬프트 4 –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용 콘텐츠 생성
🧑🏫 "대학교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준비 중인 학생입니다. (Context) 발표 주제는 ‘AI 기술의 윤리적 문제’이고, 이를 청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Objective) 슬라이드용 문장으로 (Style), 학문적이지만 친근한 말투로 (Tone) 발표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Audience) 콘텐츠를 구성해 주세요."
✅ 예시 프롬프트 5 – 이메일 작성 요청
📧 "스타트업 대표로서 (Context) 신규 고객에게 서비스 도입을 제안하는 이메일을 작성하려 합니다. (Objective) 이메일은 비즈니스 전용으로, 간결하고 설득력 있는 문체로 (Style) 전문적이지만 부담 없는 어조로 (Tone), IT 업계 실무자를 대상으로 (Audience) 작성해 주세요."
예시 프롬포트 5 를 그대로 챗gpt에게 물어본 결과입니다.
📄 환각(Hallucination)을 줄이는 실용 팁
GPT는 그럴듯한 거짓말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이를 ‘환각(Hallucination)’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를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웹 검색 요청하기
-
"웹에서 최신 정보를 검색해 사실 여부를 확인한 후 답해줘."
최신 버전에서는 검색 출처까지 자동 인용되어 정보 신뢰도가 훨씬 높아졌습니다.
-
-
파일 기반 응답 요청하기
-
엑셀, CSV, 텍스트 파일을 첨부한 후
"첨부한 파일 기반으로 분석해줘"
라고 지시하면 GPT는 구체적이고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제공합니다.
-
-
구분자 사용하기
-
##
,>>>
,---
등의 구분자는 GPT가 텍스트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더 정확한 응답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 문제 해결력을 높여주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생각의 사슬 방식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 중 하나는 ‘생각의 사슬(Chain of Thought)’ 기법입니다. 문제를 단계별로 분해하고 추론하게 만드는 방식인데요, 예를 들어 숫자 문제를 GPT에게 풀게 할 때,
"단계별로 생각해 보자.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분리해서 비교해줘."
라고 요청하면, GPT는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프롬프트는 오픈AI의 플레이그라운드 시스템 인스트럭션 메뉴에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 진짜 생산성 향상: GPT로 문제 정의부터 아이디어 발상까지
일상과 업무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들은 사실 AI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래의 두 단계에서 GPT를 활용하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문제 정의 – 5 Why 기법문제에 대해 ‘왜?’라는 질문을 5번 반복하면 근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GPT에게
5 Why Loop
를 요청하면 자동으로 구조화된 분석을 제공하죠.👥 고객 이해도 GPT로 가능하다? 사용자 맥락 분석하기
GPT는 사용자 맥락을 분석해서 잠재 고객 프로필까지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유저(User), 유저의 목표(User Goals), 환경(Environment)의 세 가지 요소를 활용하면 퍼소나나 고객 여정 지도를 AI가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직접 수집한 인터뷰 데이터를 붙여 넣고 분석을 요청하면 실제 잠재 고객의 패턴과 문제 지점까지 시각화해줍니다.
0 댓글